한태상공회의소에서 전하는 태국 및 주변국가 경제 NEWS - 714호

2025/08/15 19:45:47

<태국경제 단신> -태국 바트화 대 달러 환율(방콕은행 전신환매도율 기준)은 지난 29일 화요일 32.59에서 5일 화요일 32.53로 한 주간 0.06밧 0.18% 하락했습니다. -태국 증권 시장은 지난 29일 화요일 1,233.68에 마감한 후 5일 화요일 1,246.96로 한 주간 13.28포인트 1.08% 상승했습니다. 하루 거래 금액은 444억 ~ 547억 밧이었습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2026년과 2027년 회계연도에 태국의 AI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최소 250억 바트의 예산을 승인했으며 예산 외에도 정부 기관과 민간 기업 간의 AI 컨소시엄 형태의 협력을 촉진하는 계획을 승인했습니다. 총 예산 250억 바트 중 60억 바트는 AI 인력 개발에 50억 바트는 우수센터 설립에, 20억 바트는 국가 데이터 뱅크 설립에 배정될 예정입니다. -사업개발국(DBD)에 따르면 태국은 2025년 상반기에 경기 침체로 인해 신규 사업자 등록이 감소했으며 6,244개의 사업체가 문을 닫았고 이는 2024년에 비해 205개(3.39%)가 증가했습니다. 한편 2025년 6월까지 7,023개의 신규 사업체가 등록했으며 이는 2024년 6월에 비해 328개(-4.46%) 감소했습니다. -정부 대변인 Jirayu는 태국이 미국과 상호 관세 협정을 성공적으로 협상하여 태국 상품에 대한 수입 관세를 36%에서 19%로 대폭 인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025년 8월 1일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세율은 태국이 이미 비슷한 수준의 관세를 받고 있는 베트남, 필리핀, 일본과 같은 주요 지역 경제와 경쟁할 수 있는 위치에 서게 합니다. 다른 아세안 국가들도 다음과 같이 세율이 개정되었습니다. 브루나이: 25%, 캄보디아: 19%, 인도네시아: 19%, 라오스: 40%, 말레이시아: 19% 미얀마: 40%, 필리핀: 19%, 베트남: 20% -상무부가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태국과 캄보디아 간의 무역은 2025년 상반기에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951억 4,700만 바트에 달했으며 3.33% 성장했습니다. 이러한 호조로 태국은 약 500억 바트에 달하는 상당한 무역 흑자를 기록했으며 태국과 인접한 4개국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말레이시아)의 국경 무역은 1조 바트를 돌파하여 같은 기간 동안 12%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태국은 변형 전분과 천연 전분을 중심으로 타피오카 제품을 필리핀, 뉴질랜드, 일본 등 신규 시장에 수출할 계획입니다. 태국 대외무역국 (DFT)의 국장 Arada Fuangtong은 태국 타피오카 제품의 상업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Charoen Pokphand Group (CP) 산하의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인 True Internet Data Center Co., Ltd. (True IDC)는 Alibaba Cloud와의 파트너십을 확대하여 태국의 공인 유통업체 (Authorized Distributor)가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태국 상무부 산하 사업개발부 (DBD)에 따르면 태국 커피 산업은 세계 경제 성장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1인당 연간 평균 340잔 이상의 커피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 증가로 태국 커피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8.33% 증가한 650억 바트에 달했습니다. DBD에 따르면 태국은 22만 라이 이상의 농지에서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품종을 모두 재배하고 있으며 연간 약 4만~5만 톤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Priceza.com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2024년에 14% 성장하여 총 시장 규모가 2023년 9,800억 바트에서 1조 1,000억 바트로 증가했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이 지속해서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2027년에는 1조 6,000억 바트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SET 상장된 에너지 대기업인 Banpu Plc의 발전 사업부인 Banpu Power가 미국에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BESS) 사업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태국-캄보디아 국경 충돌, 휴전으로 1,810억 바트의 경제적 손실 우려 태국과 캄보디아 군대 간의 취약한 휴전으로 국경 긴장이 일시적으로 완화되었지만 경제학자들은 분쟁이 장기화되면 두 나라가 3개월 동안 최대 1,817억 바트의 손실을 볼 수 있으며 수십만 명의 노동자가 이주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인 Pichai는 정부가 여전히 경제적 여파를 평가하고 있으며 초기 추정치에 따르면 분쟁이 짧은 기간 동안 태국에 이미 약 100억 바트의 손실을 입혔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재정적 영향은 즉각적인 군사 비용보다 훨씬 더 큽니다. 국제 경제학 전문가인 Dr. Aat 부교수는 휴전 이후 3가지 잠재적 시나리오를 모델링하며 전투가 재개될 확률이 80%라고 경고했습니다. 긴장이 한 달 동안 지속될 경우 양국 경제는 총 606억 바트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개월간의 분쟁이 지속될 경우 손실액이 두 배로 늘려 1,210억 바트가 될 것이며 3개월간 대치 상황일 경우 총 경제적 손실액은 1,1817억 바트에 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Restaurant Business Association 회장인 Sorathep은 3개월간의 혼란이 400-500억 바트의 국경 수출 손실을 입힐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주변국가 소식> -미얀마, 인도와 과학기술 협력 프로그램(2025-2028) 체결 미얀마 과학기술부는 인도 (주 미얀마 인도 대사관)와 과학기술협력 프로그램을 지난 7월 30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유효하고 2012-2015년 협력, 2018-2021년 협력에 이어 3번째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주요 협력 분야는 생명공학 (식품, 의학, 농업 포함), 나노기술, 스마트 대학교를 위한 기술, 친환경 기술, 로봇공학, 인공지능(AI), 블록체인,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및 증강현 (Augmented reality(3D imaging technologies)), 첨단소재 과학, 재생에너지 및 전기차 기술, 과학기술 전략계획 모니터링 등입니다. -2025년 상반기 싱가포르 자동차 신규 등록 증가, 비야디(BYD)는 판매 1위와 높은 점유율 기록 중국 자동차 브랜드 비야디 (BYD)가 2025년 상반기 싱가포르 신차 시장 점유율 19.5%를 기록하며 총 4,667대 등록으로 판매 1위를 차지하였으며, 병행수입 차량 등록은 계속해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육상교통청(LTA)에 따르면, 도요타는 같은 기간 3,461대를 등록해 2위를, BMW는 2,664대로 3위를 유지했지만, 두 브랜드 모두 시장 점유율이 감소했습니다. 탑 10대 브랜드 중 7개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아 (8위)와 닛산 (9위)을 제외한 모든 브랜드가 전년보다 더 많은 차량을 등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점유율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대와 기아는 각각 7위와 8위에 올랐으며, 시장 점유율은 각각 3.1%, 2.6%입니다. 2025년 상반기 전체 신규 자동차 등록 대수는 23,957대로, 2024년 같은 기간의 18,576대보다 29% 증가한 수준입니다. -필리핀, 6월 수출 증가율 14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지난 6월 필리핀의 수출액이 70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26.1% 증가해 2024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입니다.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에 대응해 미국 수입업체들이 선제적으로 물량을 확보한 것이 수출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필리핀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 후 당초 제안된 20%보다 낮은 19%의 대미 수출 관세율 적용으로 협의하였습니다. 필리핀은 이에 대한 교환으로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고 미국산 대두, 밀, 의약품 수입을 확대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미국의 베트남에 대한 상호관세율, 46%에서 20%로 공식 인하 베트남 산업부에 따르면, 베트남 시간 기준 2025년 8월 1일 새벽,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상호 관세율 조정 관련 포고령을 발표하였으며, 베트남에 대한 공식 상호 관세율은 기존 46%에서 20%로 인하되며, 8월 7일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산업부는 2025년 4월 말부터 베트남과 미국 간 상호 무역 협상이 기술급 및 장관급 차원에서 다수 진행되었으며, 베트남 정부 협상단은 산업부 장관이 단장을 맡고 유관 부처 대표들이 참여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장관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장관 간의 대면 및 화상 협상이 다수 개최되었으며, 협상 과정에서 양측은 관세, 원산지 규정, 세관, 농업, 비관세조치, 디지털 무역, 서비스 및 투자, 지식재산권, 공급망, 무역 협력 등 주요 분야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기타 소식> -태국 공군(RTAF)은 내각이 스웨덴으로부터 그리펜 전투기 4대를 추가로 구매해 달라는 요청을 승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RTAF는 방공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Saab JAS 39 Gripen E/F 전투기를 구매할 계획입니다. -지난 7월 30일 투자청 (BoI: Board of Investment)은 자동차 제조사들의 생산 요건 충족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기차 (EV) 인센티브 정책을 조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개정된 정책은 기존 국내 등록 차량만 인정하던 것에서 현지 생산 후 수출되는 전기차도 생산 목표치에 포함하도록 변경했습니다. 투자청 사무총장은 태국의 자동차 제조 선도국 입지를 강조하며, 이번 정책 개정으로 태국의 역내 전기차 생산 기지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세제 혜택과 가격 보조금을 포함한 태국 정부의 전기차 정책으로 비야디 (BYD)와 그레이트월 모터스 (Great Wall Motors) 등 중국 기업들로부터 40억 달러 이상의 투자 유치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태국개발연구원(TDRI)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2023년 태국의 노인 소비 지출이 2조 1,800억 바트에 달했으며, 2033년까지 3조 5,000억 바트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The United Nations은 이미 2001년부터 2100년까지를 "고령화 시대"로 지정했으며 전 세계 인구의 10% 이상이 60세 이상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국영 에너지 대기업인 PTT Plc는 동남아시아의 대기업 중 2년 연속으로 Fortune Southeast Asia 500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 PTT는 세계 경제와 에너지 변동성이 큰 시기에도 에너지 부문에서 지속적인 리더십을 유지하고 균형 잡힌 지속가능성을 추구한다는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고속도로국 (Department of Highways)은 Rayong 주의 U-Tapao 국제공항과 연결되는 7번 고속도로 확대 프로젝트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동부경제회랑 (EEC)의 교통과 물류 연결 강화를 목표로 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공사는 오는 9월에 시작되어 2028년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우주항공청과 외교부는 7월 3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8월 4일 태국 방콕에서 현지 정부 기관 및 민간 기업과 우주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뉴스페이스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태국 세미나에는 국내 9개 기업과 태국 고등과학혁신부(MHESI), 지리정보·우주기술개발청(GISTDA), 국방기술연구소(DTI), 투자청(BOI) 등 주요 우주 관련 정부기관 및 산학기관 5개사가 참여했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태국 위성 개발 및 활용 수요와 밀접히 연관된 위성제작·개발, 위성 영상기반 인공지능(AI) 분석 및 기후·재난 대응 설루션 등을 소개했습니다. 이어진 1대 1 면담에서 한국 기업들은 태국 정부 및 기업과의 구체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한태상공회의소에서 전하는 태국 및 주변국가 경제 NEWS - 713호

2025/08/01 18:14:54

<태국경제 단신> -Priceza.com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2024년에 14% 성장하여 총 시장 규모가 2023년 9,800억B에서 1조 1,000억B로 증가했습니다. 시장이 지속해서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2027년에는 1조 6,000억B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GH은행의 부동산정보센터(REIC)는 2025년 1분기에 동부경제회랑(EEC)의 토지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로 인한 부동산 개발 급증을 반영하며 yoy 31% 증가한 470억 바트에 달했습니다. 일본, 중국, 싱가포르의 주요 투자자들이 이 지역의 주거 및 산업 프로젝트를 위한 토지를 찾고 있습니다. EEC 지역 중 라용이 생산 기지 이전과 인프라 준비에 힘입어 토지 가격이 yoy 43.5% 상승했으며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한편 촌부리는 특히 파타야 지역의 주거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yoy 33.6% 상승했습니다. -K-Research에 따르면 정부가 이웃 국가에 부여된 관세와 경쟁력이 있는 상호 관계를 보장하는 협상을 성사시키지 못할 경우 올해 국내총생산(GDP)이 1.2% 이하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경기 부양책을 재검토할 것을 권고하며 쁘라윳 정부가 시행한 반반 부담금 제도가 국내 소비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공공부채관리국(PDMO)은 2025 회계연도에 총 100억 바트를 초과하지 않는 최종 저축채권 발행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발행은 전통적인 저축채권과 정부의 혁신적인 G-Token이 모두 포함될 것입니다. -PTT Public Company Limited(51%)와 Bangkok Industrial Gas Company Limited(BIG)(49%)의 합작 투자 회사인 Map Ta Phut Air Products Company Limited(MAP)는 Rayong 주에 Map Ta Phut 산업단지에 MAP2 공기 분리 공장을 건설할 예정입니다. 이는 두 회사가 국가의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건설은 2026년 1분기에 시작될 예정입니다. -태국산업연맹(FTI)은 2025년 상반기 태국 오토바이 생산과 판매가 증가하더라도 하반기에 산업이 둔화될 가능성이 높고 밝은 사업 전망을 보장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FTI 부회장 겸 자동차 산업 클럽 대변인인 Surapong은 이러한 경기 침체의 원인은 소비자 구매력 약화와 태국 무역 상대국의 경기 침체라고 밝혔습니다. 1월부터 5월까지 태국의 오토바이 생산량은 5% 증가하여 100만 대를 넘어섰습니다. 이 중 완성차(CBU)는 865,858대로 전년 대비 3% 증가했고, 완전분해차(CKD)는 198,523대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중국 전기차(EV) 제조업체인 Omoda & Jaecoo (Thailand)는 태국 자동차 시장의 침체 속에서 전기차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Omoda & Jaecoo의 사장인 Qi Jie는 투자 예산을 삭감할 계획이 없고 그 대신 자동차 판매 증진을 위한 마케팅 캠페인에 예산을 늘릴 계획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Chery Automobile의 자회사인 Omoda & Jaecoo는 앞서 라용주에 배터리 전기차(BEV)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50억 바트를 투자한다고 발표했으며 공장은 올해 4분기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투자청은 36%의 미국 관세에 대응하여 태국 내 생산량 유지를 목표로 전기 자동차 및 전자 제품 분야의 중소기업과 국내 제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세금 인센티브를 발표했습니다. 투자청은 미국 관세 인상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도입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식품 가공, 자동차 부품, 전자 부품, 가전제품, 기계 및 장비, 주얼리, 원석 등 주요 산업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새로운 조치는 2가지 주요 영역을 다룹니다. 1) 태국 중소기업 및 국내 공급망 강화 2) 취약 산업을 보호하고 공정 경쟁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 무역 조치로 인한 위험 감소 및 특정 부문에 대한 투자 규제 -재무부 장관은 미국의 징벌적 수입 관세로 인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수출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2,000억 바트 규모의 소프트론 패키지를 준비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000억 바트 규모의 소프트론은 GSB은행, 태국 농업은행, 태국 수출입은행 등 국영 은행에서 조달될 예정입니다. -Agency for Real Estate Affairs (AREA)의 조사에 따르면 태국의 음식 가격은 지난 13년간 106.5% 급등하여 2012년 한 접시당 31바트에서 2025년 64 바트로 치솟았습니다. 이 연구는 방콕의 주요 상업 지구인 Silom, Surawong, Sathorn 지역의 물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음식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 최저임금은 300바트에서 400바트로 33.3%만 인상돼 임금과 생활비 사이에 상당한 격차가 발생했습니다. -재무부 사무차관에 따르면 회계연도 첫 8개월(2024년 10월-2025년 5월) 동안 정부의 순수입은 1조 7,000억 바트로 목표치보다 127억 바트(0.7%) 낮았습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수익 징수액은 yoy 1.7% 증가했습니다. 2025 회계연도 정부의 순수입 목표는 2조 8,800억 바트인데 최근 전망을 고려하면 경제 성장률이 2%에도 미치지 못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Department of Energy Business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동안 전체 연료 소비량이 1억 5,844만 리터/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0.8% 증가했습니다. 상업용 제트 연료(Jet A1) 사용량은 12.3% 증가, 벙커유 6.7% 증가, 벤진유 0.8% 증가했고 LPG 사용량은 2.3% 감소, 주유소 디젤 1.5% 감소, NGV 16.1% 감소했습니다. -태국 관광청(TAT)은 올해 관광 수입이 2조 8,700억 바트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는데 중국 시장의 부진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목표치인 3조 바트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26년에는 7% 성장하여 3조 바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합니다. -국영 에너지 대기업인 PTT Plc는 동남아시아의 대기업 중 2년 연속으로 Fortune Southeast Asia 500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 PTT는 세계 경제와 에너지 변동성이 큰 시기에도 에너지 부문에서 지속적인 리더십을 유지하고 균형 잡힌 지속가능성을 추구한다는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주변국가 소식> -인도네시아-미국, 19% 관세 부과 무역협정 체결 지난 7월 1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산 제품에 19%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산 수출품은 관세를 면제하는 무역협정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협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교역국에 보낸 관세 서한의 일환으로, 당초 인도네시아는 32% 관세 부과 가능성에 직면했습니다. 협정의 일환으로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에너지 150억 달러, 농산물 45억 달러 구매와 보잉 (Boeing) 항공기 50대 구매를 약속했습니다. 이번 발표로 보잉 주가는 0.8% 상승하고 미 달러화는 0.4% 강세를 보인 반면, S&P500 지수는 큰 변동이 없었습니다. -롯데마트 베트남 하노이센터점…'K푸드 맛집' 부활 하노이센터점은 즉석조리식품 전문 공간인 '요리하다 키친'을 약 45m 규모로 도입해 떡볶이, 김밥, 닭강정 등 70여 종의 K 푸드를 포함한 메뉴 450여 가지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외식이 보편적인 베트남 식문화를 반영해 약 90석 규모의 취식 공간도 마련했습니다. ‘요리하다 키친’을 도입한 뒤 1년간 즉석조리 식품 매출은 직전 연도 동기 대비 35% 이상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K 푸드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의 40%에 달했습니다. 이는 한국과 베트남 푸드이노베이션센터 (FIC) 셰프들이 협력해 한국의 맛을 유지하는 동시에 현지 입맛에 맞춰 개선한 레시피와 엄격한 품질 관리가 뒷받침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말레이시아, 판매 및 서비스세 개정을 통해 수입 과일 면세 및 과세 품목 조정 말레이시아 재무부는 판매 및 서비스세(SST: 말레이시아 내 제조·수입 제품과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세금)에 관한 재무부 고시‘P.U.(A) 170/2025호’를 통해 기존 면제 대상 수입과일 및 가공식품에 신규 5~10% 세금을 부과합니다. 동 개정안을 통해 말레이시아 정부는 세수 확대 및 재정수입 증대를 도모하는 한편, 서민 및 저소득층을 보호하기 위해 기본 생필품 0% 세율을 유지합니다. 그 외 가공품, 수입과일, 유제품 등은 5~10% 판매세가 부과되었으나 수입 사과, 오렌지, 귤, 대추는 기존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어 판매세 면제 품목으로 새롭게 추가됩니다. -롯데홈쇼핑의 K캐릭터 벨리곰…대만·홍콩서 팬심 저격 롯데홈쇼핑이 홍콩, 대만에서 자체 개발한 인기 캐릭터 '벨리곰'을 앞세운 대형 전시 행사를 연다고 밝혔습니다. 홍콩에서는 11~31일 현지 최대 규모 아웃렛인 시티게이트 아웃렛에서 수영장 콘셉트의 '다이브 인투 서머' 전시를 진행합니다. 튜브를 탄 5m 대형 벨리곰 조형물과 안전요원 벨리곰·서핑하는 벨리곰 등 6개 포토존, 체험형 이벤트를 마련했습니다. 대만은 11~20일 소고백화점 중샤오점에서 여름 해변 콘셉트의 전시와 팝업스토어가 진행 중입니다. 벨리곰은 사회관계망서비스 (SNS) 누적 구독자 170만 명 이상을 보유한 캐릭터이며 2023년 태국, 2024년 일본·대만에 진출하면서 글로벌 활동을 본격 시작한 벨리곰은 올해 홍콩으로 반경을 넓혔고 벨리곰이 인기를 얻으면서 뷰티, 생활용품, 잡화 등 캐릭터를 활용한 500여 종의 상품도 판매 중입니다. 롯데홈쇼핑은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 러시아 진출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설빙, 필리핀 현지기업와 프랜차이즈 계약…동남아 시장 확대 빙수 프랜차이즈 설빙이 필리핀 진출을 위해 현지 기업과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필리핀은 말레이시아와 캄보디아에 이어 설빙이 세 번째로 진출하는 동남아 국가입니다. 설빙은 올해 안에 필리핀 마닐라에서 매장 2곳을 열기로 했습니다. 설빙은 미국, 일본, 호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에 진출했으며 싱가포르와 대만, 베트남, 라오스로 시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기타 소식> -내각은 재무부가 제안한 중앙은행 총재에 Vitai Ratanakorn을 임명하기로 결의했습니다. 이는 왕실의 승인을 받은 후 10월 1일부터 5년 임기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하원은 유급 출산 휴가를 98일에서 120일로 연장하는 개정된 노동 보호법을 통과시켰고 이 초안은 검토를 위해 상원으로 전달했습니다. 새로운 법안에 따르면 고용주는 120일의 출산 휴가 기간 동안 일당의 50%를 지원해야 합니다. 한편 아버지는 신생아 돌봄을 돕기 위해 15일 유급 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태국이 최초로 국산 표척 치료용 항암제인 Imcranib100을 출시했습니다. 올해 5월 20일 식약청 (FDA)에 등록된 Imcranib100은 이마티닙 100밀리그램을 함유한 정제입니다.이 약은 암세포를 정확하게 표적으로 삼은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로 만성골수성백혈병(CML), Philadelphia chromosome-positive acute leukaemia, 위장관기질종양(GIST), 융기성피부섬유육종(DFSP)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쭐라폰왕립아카데미(CRA)에 따르면 현재 Chulabhorn병원에서는 Imcranib100을 이용한 치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치료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태국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이 높아졌습니다. -지난 7월 9일 태국 정부는 국경 지역 기업 영향 완화를 위해 캄보디아 근로자의 체류 허가를 6개월 연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태국 노동부 장관이 주재한 회의에서 태국-캄보디아 국경 상황으로 영향을 받은 캄보디아 근로자 관련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태국 정부는 외국인 근로자 고용관리법에 따라 유효 및 만료된 국경 통행증을 소지한 캄보디아 근로자의 체류와 취업을 허용합니다. 근로자는 신청비 100바트와 허가비 225바트를 납부하고 90일간 유효한 취업 허가를 신청해야 하며, 허가된 지역 내에서 최대 세 곳까지 고용주 변경이 가능합니다. 근로자는 30일마다 출입국 사무소에 신고해야 하며, 첫 신고는 2025년 7월 30일까지 완료해야 합니다. 국경 상황이 정상화되면 근로자들은 7일 이내에 태국을 출국해야 합니다. -비영리 공익단체인 한국외국인 법률지원센터는 태국 방콕에 위치한 로펌 ‘THANIC ACCOUNTING AND LEGAL CO., LTD.’ 와 공식적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은 국내에 거주 중인 태국 출신 근로자, 유학생, 결혼이민자 등 다양한 이주민들이 한국에서 겪는 법률적 문제에 보다 신속하고 실질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취지로 추진되었습니다. 아울러, 태국 현지에서 발생하는 한국 관련 사건에도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양국 간 법률적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목적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협약의 파트너인 타닉 로펌은 태국 정부 산하의 정부저축은행과 방콕상업자산관리회사의 공식 자문 로펌으로 활동 중입니다. 타닉 로펌은 금융·세무, 민사·형사 사건, 이혼·상속 분쟁 등 개인 법률문제는 물론, 태국 내 외국인의 법인 설립, 비자, 세무, 노동 관련 법률 자문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실무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태상공회의소에서 전하는 태국 및 주변국가 경제 NEWS - 712호

2025/07/15 18:37:13

<태국경제 단신> -세계은행의 태국 경제 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1.8%로 하향 조정했으며 2026년 전망치도 1.7%로 낮췄습니다. 또한 무역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하반기 수출이 둔화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1분기 수출은 견조한 수치를 보였지만 이는 주로 트럼프 대통령이 90일간의 세금 유예를 시행하기 전에 수출이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이 요인이 상쇄될 경우 GDP 성장률 전망치는 1.8%에 달합니다.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1.3%에서 2.3% 사이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미국이 태국산 수출품에 최대 36%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 2023년 GDP는 약 1.8% 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인 새로운 상호 관세 물결을 발표했습니다. 국가별로 관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본, 한국: 25% - 말레이시아, 튀니지, 카자흐스탄: 25% - 남아프리카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0% - 인도네시아: 32% - 방글라데시, 세르비아: 35% - 캄보디아, 태국: 36% - 라오스와 미얀마: 40% 베트남과 같은 경쟁국이 관세율이 낮기 때문에 높은 관세율은 태국의 생산 및 수출 비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외국인 투자자들이 관세가 낮은 국가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여 태국의 제조업이 더욱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에너지 및 식품 가격 하락으로 인해 100.42포인트, yoy 0.25% 감소했습니다. 한편 핵심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yoy 1.06% 증가했습니다. -Electricity Generating(EPA)의 발전 부문 자회사이자 SET에 상장된 Egco는 대만 풍력 발전소에 투자하는 해외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에 4~5건의 인수합병(M&A) 계약을 추가로 체결할 계획입니다. 현재 태국 및 해외 기업들과 협상 중이며 특히 미국과 중동 지역 자산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태국개발연구원(TDRI)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2023년 태국의 노인 소비 지출이 2조 1,800억 바트에 달했으며, 2033년까지 3조 5,000억 바트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The United Nations은 이미 2001년부터 2100년까지를 "고령화 시대"로 지정했으며 전 세계 인구의 10% 이상이 60세 이상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사회보장청(SSO)은 새로운 규정이 시행되어 사회보장법 제33조에 따라 해고된 직원의 실업 수당이 기존 50%에서 60%로 인상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혜택은 최대 180일 동안 지급됩니다. 또한 새로운 규정에 따라 퇴사한 직원이나 계약이 만료된 직원은 연간 최대 90일 동안 지급되는 일급의 30%를 받게 됩니다. 조건은 실업 전 15개월 이내에 최소 6개월 동안 SSO에 돈을 내야 하고 최소 8일 동안 실직 상태여야 하며 고용국 웹사이트 (https://unemploy.doe.go.th)를 통해 실업자로 등록해야 합니다. National Telecom Plc (NT)는 T3 Technology Co Ltd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광대역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태국 소비자에게 편리함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메라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NT의 사장 Sanpachai와 T3 Technology의 회장 겸 설립자인 Wang Helin은 NT의 서비스 제공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태국상업대학교(UTCC)는 하반기 경제에 부담을 주는 글로벌 및 국내적 문제로 인해 2025년 태국의 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3%에서 1.7%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The Bangkok Metropolitan Administration (BMA)는 지난 6월 29일 Don mueang – Saphan Mai 근처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Vibhavadi Rangsit 로드와 Phahon Yothin 로드를 연결하는 2km 길이의 새로운 도로를 개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새로운 도로는 특히 Ram Intra 로드와 Thepharak 로드에서 Don Mueang 국제공항으로 이동하는 운전자들의 접근성을 높여줄 것입니다. -관광체육부의 보도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태국을 여행한 외국인 관광객은 총 16,685,466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4.66% 감소했고, 관광수입은 7,715억 5,500만 바트로 2.31% 감소했습니다. -타이항공(THAI)은 U-Tapao 공항에 100억 바트의 대규모 항공기 정비, 수리 및 점검(MRO) 센터 건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Eastern Economic Corridor Office (EECO) 사무총장인 Chula Sukmanop 은 이 프로젝트 부지에 대한 입찰이 곧 시작될 예정이며, 태국 투자자들은 초기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 -Mama 라면 제조업체인 Thai President Foods Plc는 비용 상승과 불리한 노동 정책을 이유로 헝가리에 대한 추가 투자를 연기했습니다. 헝가리의 시설 주변 지역의 건설 비용과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여 투자 회수 기간이 7년으로 연장되었는데, 이는 회사 목표와 맞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금융정책위원회(MPC)는 기준금리를 1.75%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주변국가 소식> -베트남, 미국과 새로운 무역협정 체결로 관세 부담 완화 지난 7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개월간의 협상 끝에 베트남산 수입품 대부분에 20%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협정은 4월 베트남의 대미 무역흑자를 이유로 미국이 46% 관세 부과를 제안한 데 따른 최종 합의로, 베트남이 당초 예상보다 낮은 관세율을 확보했습니다. 새로운 협정에 따라 베트남산 제품에는 20% 관세가, 제3국을 경유한 우회 수출품에는 40% 관세가 부과됩니다. -라오스, 국가결제망에 MmoneyX 첫 전자지갑 등록 7월 1일 라오 모바일 머니 (Lao Mobile Money)가 운영하는 MmoneyX가 라오스 국가결제망 (LAPNet: Lao National Payment Network)에 가입한 첫 전자지갑이 되어 라오스의 디지털 금융 전환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MmoneyX는 LAPNet 회원사로서 전국 은행 간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송금 및 결제가 가능해졌으며, 이용자들은 회원 은행 계좌로의 자금 이체와 라오스 QR코드를 통한 소매점 결제가 가능합니다. MmoneyX는 비자 (Visa)와 마스터카드 (Mastercard)와 제휴해 여행객 대상 전자지갑 서비스를 제공하고, 머니그램 (MoneyGram)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 송금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캄보디아, 국경 분쟁으로 태국산 석유제품 수입 중단 캄보디아 총리는 국경 분쟁을 이유로 태국산 석유제품 수입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태국은 그동안 캄보디아의 최대 석유제품 공급국으로서 일일 약 600만 리터를 수출해왔습니다. 캄보디아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산 석유제품 대비 운송비가 저렴했던 태국산 석유제품 수입 중단으로 운송 비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태국 정유 업계 관계자는 수출 대체 시장을 찾지 못할 경우, 생산량을 줄이고 사용하지 않는 시설에 대한 정비 프로그램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KFC 코리아, KFC 몽골에 인기 메뉴 레시피 수출 KFC 코리아는 KFC 몽골과 메뉴 협업 강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습니다. KFC 코리아와 KFC 몽골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인기 메뉴 레시피 수출과 광고, 캠페인 자산 공유, 공동 마케팅과 신제품 기획 추진 등을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KFC 몽골은 지난 1월 KFC 코리아가 개발한 메뉴 켄치밥을 몽골 현지 22개 매장에서 판매하고, 최현석 셰프가 출연한 광고 콘텐츠를 몽골어로 현지화해 TV와 디지털 매체 등에 송출했습니다. KFC 코리아는 올해 하반기에 다른 메뉴를 몽골에 수출할 계획입니다. -빈공항 폐쇄에 여행객 끊길라…최대 77% 할인행사 나선 베트남 항공사 비엣젯항공은 오는 7일부터 대규모 프로모션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캠페인에서는 모든 국제선과 베트남 국내선에 대해 최대 77%까지 할인된 수백만 장의 항공권을 제공합니다. 예약 방법은 비엣젯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에코 항공권을 예약하고 프로모션 코드를 입력하면 되고 적용 탑승 기간은 8월 11일부터 2026년 3월 28일까지입니다. 여름 여행 수요 증가에 대응해 비엣젯은 145개 이상 노선에 60만 석 이상의 좌석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기타 소식> -Thai Glico Co Ltd는 태국에서 약 10년간 아이스크림 판매를 해왔는데 올해 말까지 태국에서 아이스크림 판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본 제과업체 Glico는 2016년 자회사인 Glico Frozen (Thailand) Co를 통해 태국에서 아이스크림 사업을 시작했으며 이는 일본 외 첫 해외 아이스크림 사업이었습니다. -국토교통부(DLT)는 차량 소유자가 “Paotang” 앱 및 기타 승인 디지털 채널을 통해 연간 자동차 세금 납부 증명서를 합법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규정을 초안하고 있습니다. 현재 운저자는 DLT Vehicle Tax Plus 앱을 통해 연간 세금 영수증을 제시할 수 있며 이는 법적으로 유효한 납부 증빙으로 인정됩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태국 웹툰 사업을 본사 중심으로 재편합니다. 카카오엔터는 올해 하반기 웹툰 플랫폼 '카카오페이지 태국'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는 카카오엔터의 태국 현지 법인이 '카카오웹툰 태국'을 운영했지만, 이를 종료하고 본사 주도로 '카카오페이지 태국'을 서비스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현지 법인은 역할을 축소해 번역과 현지화 작업 등을 맡길 예정입니다. 카카오엔터는 2021년 6월 태국에 카카오웹툰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지난해 10월 인도네시아와 대만 웹툰 시장에서 철수하면서도 태국 서비스만은 남긴 바 있습니다. -민간항공관리국 (CAAT)은 중국 국내선 항공편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보조배터리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확인하도록 촉구하는 여행 권고를 발표했습니다. 개정된 규정에 따라 중국 국내선 비행기에 반입되는 보조배터리는 중국에서 인정되는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CCC)를 표시되어야 합니다. CCC 표시가 없는 보조배터리는 공항 보안 검색대에서 압수될 수 있습니다. -Advanced Info Service(AIS)는 지속 가능한 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40억 바트를 투자하고 태국 최초의 세계적 수준의 하이퍼 스케일 클라우드 서비스인 AIS Cloud를 출시했습니다. -보건부는 대마초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제정하여 규제되지 않았던 대마초의 광범위한 사용을 억제하고 의료 목적을 강조했습니다. 6월 23일부터 시행되는 이 명령은 대마초 꽃을 통제 허브로 지정하여 연구, 수출, 판매 또는 가공에 대한 라이선스를 의무화합니다. -포스코이앤씨가 태국에서 1조 5000억 원 규모의 ‘걸프 MTP(Map Ta Phut) LNG 터미널’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했습니다. 글로벌 LNG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7월 1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와 태국의 에너지 부문 민간 투자사인 걸프 디벨로프먼트는 지난달 30일 태국 방콕에서 25만m³ 용량의 LNG 탱크 2기와 하역설비, 연 800만 톤의 기화 송출 설비를 건설하는 에너지 인프라 사업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한태상공회의소에서 전하는 태국 및 주변국가 경제 NEWS - 711호

2025/07/01 18:16:18

<태국경제 단신> -상무부 장관은 태국의 5월 수출이 18.4% 증가하여 3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310억 4,400만 달러의 가치를 기록했다고 말했습니다. 수출 증가는 디지털 경제의 확장에 따라 기술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인쇄회로 기판과 같은 전자 제품의 수출의 크게 증가했습니다. -태국산업연맹(FTI)은 올해 하반기에 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취약한 경제 상황 속에서 중소기업들이 추가 비용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7월 1일부터 방콕의 최저임금을 400바트로 인상하려는 계획을 재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태국은 다양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올해 마지막 6개월 동안 임금을 인상하는 것을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경기부양위원회는 태국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1,100억 바트 규모의 경기 부양책을 승인했으며 이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내총생산(GDP)을 최대 0.5%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재무부 장관에 따르면 예산의 70%는 농업 및 식수 시스템, 홍수 예방, 도로 건설에 중점을 둔 인프라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추가로 10%는 관광 개발에 사용될 것이며 나머지 자금은 미국의 징벌적 무역 정책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 인한 경제 혼란에 대응하기 위한 재정 조치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경기부양프로그램을 통해 총예산의 30%를 임금으로 할당하여 600만-7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태국 군대는 태국-캄보디아 국경에 있는 국경 검문소를 폐쇄하라고 명령했으며 인도주의적 목적으로만 허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이 명령은 6개 지역(짠타부리주에 있는 Ban Laem, Ban Pakkad, Ban Subtaree, Ban Suan Som 검문소 그리고 뜨랏주에 있는 Ban Hat Lek, Ban Mamuang 검문소 )에 영향을 미칩니다. -Thai Airways International(THAI)은 8월 초 태국 증권거래소에 재상장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타이항공이 4월 28일에 법원에 파산 취소를 요청했고 지난 6월 16일에 법원이 회생 절차 종결 요청을 승인했기 때문입니다. -철도청(SRT) 이사회는 Krung Thep Aphiwat Central 역의 상업 공간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허가를 PGWR 그룹에 수여했습니다. Krung Thep Aphiwat Central 역에는 47,675제곱미터 규모의 상업 공간이 있는데 PGWR 그룹은 이 공간을 소매점, 레스토랑, 휴게소 공간으로 개발할 예정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KHNP)은 지난 6월 10일, 태국 논타부리에서 태국 국영 전력 공기업인 태국 전력청(EGAT)과 소형모듈원자로(SMR) 분야 상호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SMR 관련 기술정보 교류, 태국 맞춤형 SMR 도입 가능성 공동 검토, 현장 견학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 인력 양성, 실무진 협의체(Working Group) 구성을 통한 원자력 분야 R&D 협력 및 인적, 기술 교류 활성화 등을 중심으로 실질적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에스토니아에 본사를 둔 차량 호출 서비스 앱인 Bolt는 내년 태국 투자를 확대하여 상위 3개 업체에 도전할 계획입니다. Bolt는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는 동시에 경쟁사 중 가장 낮은 서비스 수수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수수료를 경쟁사보다 40% 낮게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태국산업연맹(FTI)은 수출 시장을 위한 픽업트럭 생산량 증가에 힘입어 태국의 5월 자동차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10.32% 증가했으며 22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FTI는 2025년 1~5월 자동차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7.82% 감소한 594,492대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태국 상업대학교(UTCC) 발표에 따르면 5월 소비자확신지수(CCI)는 4월 55.4에서 54.2포인트로 감소했으며 4개월 연속 하락했습니다. 4개월 연속 하락은 기업과 소비자가 무역 전쟁에 대한 불안과 부진한 회복세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잠재적인 경기 침체 위험을 시사합니다. -King Power는 태국공항공사(AoT)와의 5개 국제공항 면세점 사업 계약 해지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지난 6월 16일에 AoT는 King Power Duty Free Co로부터 수완나품, 돈므앙, 치앙마이, 푸켓, 핫야이의 공항 면세점 운영 계약을 해지하겠다는 의사를 전달받았다고 밝혔습니다. (King Power Duty Free는 King Power Corp의 자회사입니다.) King Power는 정부의 와인 관세 인하, 중국 관광객 감소, 코로나19 팬데믹, 지정학적-무역 전쟁 등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했습니다. - 재무부 장관은 이번 주에 공식 무역 제안서를 미국에 제출할 예정이며 첫 번째 논의는 온라인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은 90일간의 유예 기간 (7월 9일) 전에 관세 인하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태국산 수입품에 36%의 관세율을 부과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지난 6월 17일 MRT Pink 노선의 Muang Thong Thani 역 다음 2개의 확장 역인 Impact Thani 역(MT01)과 Muang Thong Thani Lake 역(MT02)의 상업 운행이 시작됐고 매일 06.00부터 24.00까지 운영합니다. (Pink 노선의 요금은 15바트 - 45바트입니다.) <주변국가 소식> -“트럼프 관세 못버텨 세계 1위도 결국” 일본 도요타 미국 판매가 인상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7월 1일부터 미국 판매 도요타 차량 가격이 평균 270달러 오른다고 보도했습니다. 도요타의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 브랜드의 경우 평균 208달러 오릅니다. 차량 판매 가격과는 별도로 도요타 판매점에서 고객이 차량을 인도받을 때 내야 하는 비용도 6월 16일부터 미 전역에서 인상되었으며 여기에는 수송비 등이 포함됩니다. 인상 폭은 도요타 브랜드는 71달러, 렉서스의 경우 108달러입니다. 도요타 측은 가격 인상에 대해 “시장 동향이나 경쟁사의 상황을 고려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매년 실시하는 것이지 트럼프 관세로 인한 것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싱가포르, 블루투스 통신 활용 자동 주차 결제 시스템 시험 도입 싱가포르 도시재개발청(URA)은 도로변 주차장의 결제를 자동화하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하는 방안을 시험 도입할 예정입니다. URA는 5월 6일 관련 기술의 효과를 검토할 사업 제안서 입찰 공고를 게시했으며, 입찰 마감일은 8월 21일 오후 4시입니다. 선정된 업체는 2025년 10월부터 2026년 7월까지 Changi Beach Cark Park 5 주차장에서 신뢰성 테스트를 진행한 후, 2026년 8월부터 2027년 7월까지 Chinatown, Keong Saik and Bukit Timah 등 도심형 노상 주차장에서 실증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 시스템은 차량이 주차 공간에 진입하거나 나갈 때 지면에 설치된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차량의 탑재 장치(OBU)와 블루투스로 통신해 자동 결제가 이루어지는 구조입니다. URA는 싱가포르 전역에 약 13,000개의 노상 주차 공간을 관리하고 있으며, 본 시범사업은 그중 일부를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삼양식품, 말레이시아 전용 매운 라면 'MEP' 2종 출시...세븐일레븐 독점 판매 한국 K푸드의 세계 확산이 빨라지는 가운데 삼양식품이 말레이시아 시장 공략을 위한 전용 제품을 내놓았습니다. 말레이시아 현지 매체 시나르데일리는 삼양식품이 말레이시아 전용 매운 라면 'MEP (Mala Everything Please)'를 출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번에 출시한 삼양 MEP는 구운마늘새우 와 블랙페퍼치킨 등 두 가지 맛으로 만들었습니다. 제품은 현재 말레이시아 세븐일레븐 매장에서만 독점 판매하고 있습니다. 시나르데일리는 "향신료, 냉각, 반복이라는 삼양 MEP가 말레이시아 향신료 요소를 불태운다"면서 "두 가지 대담하고 중독성 있는 맛으로 나온다"고 전했습니다. -싱가포르와 인터폴, 1,000개 이상 악성 IP 주소 차단 싱가포르 경찰청은 2025년 1~4월 인터폴과 ‘오퍼레이션 시큐어(Operation Secure)’ 공동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이번 작전을 통해 사이버 범죄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싱가포르 기반 IP 주소 1,000개 이상을 차단했습니다. 차단된 IP는 컴퓨터 시스템에 침투해 정보를 탈취하는 인포스틸러 멀웨어를 유포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작전에는 26개국 사법당국이 참여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2만 개 이상의 악성 IP 주소 및 도메인이 차단되었습니다. <기타 소식> -넥센타이어가 최근 태국 방콕에 플래그십 브랜드숍을 오픈했다고 밝혔습니다. 태국 현지에서 마케팅 활동과 함께 리테일 매장 브랜딩을 확대하며 동남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전략적인 행보입니다. 이번 브랜드숍은 넥센타이어와 10년 이상 파트너십을 이어오고 있으며 태국 내 800여 개 소매 딜러 네트워크를 보유한 타이어 유통사와 협업해 추진되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7월 25일부터 인천~푸껫 노선을 매일 1회 운항한다고 밝혔으며 2023년 4월 비운항 조치 이후 2년 만의 재운항입니다. 인천공항에서 오후 6시 10분에 출발해 오후 10시 30분에 푸껫 공항에 도착, 오후 11시 40분에 푸껫 공항을 출발해 다음날 오전 8시에 인천공항에 돌아오는 일정이고 토요일 귀국 편은 현지시각 오후 11시 25분 푸껫에서 출발합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여름 휴가철 여행객 수요에 대비하고자 운항 재개를 결정했다"라며 "여행 수요에 맞춘 노선 운영으로 고객들의 선택지를 넓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가 진행한 2025년 1분기 Social Outlook 보고서에 따르면 고용주의 89%가 신입 졸업생 채용을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기피의 이유로 경험 부족(60%), 팀워크 부족(55%), 비즈니스 매너 부족(50%) 그리고 적절한 직무 기술 부족(51%)을 꼽았습니다. 신입 졸업생의 실업률은 1.84%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 131,600명에 해당합니다. -CJ ENM이 태국 파트너사와 손잡고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 및 오리지널 콘텐츠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6월 13일 현지매체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CJ ENM의 홍콩법인과 태국 유료방송사 트루비전(TrueVisions)의 합작사 트루CJ(True CJ) 간에 체결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합니다. 앞으로 한국 지식재산권 기반의 드라마 리메이크 작품을 홍콩, 인도, 일본, 한국, 대만 등 아시아 국가는 물론 라틴아메리카 전역에 공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6월 9일에 발표된 최신 미국 국무부 여행 권고에 따라 태국은 1등급으로 격상되었습니다. 태국은 일본, 호주, 캐나다, 싱가포르와 함께 가장 안전한 국가로 분류되었습니다. 1등급은 방문객의 신뢰를 높이고 입국자를 느리고 호텔, 식당 및 관련 서비스에 고용과 수입을 창출함으로써 국가의 지속적인 관광 회복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태국의 MICE 산업은 현재 세계 26위에서 25위로 도약하며 아세안 1위, 아시아 태평양 지역 5위를 차지했습니다. IMEX Frankfurt 2025에서 발표된 국제회의 및 컨벤션 협회(ICC)의 2024 GlobeWatch 비즈니스 분석에 따르면 국가 및 도시 순위를 인용하며 태국은 작년에 158건의 국제 회의를 개최했는데 이는 2023년 143건보다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한태상공회의소에서 전하는 태국 및 주변국가 경제 NEWS - 710호

2025/06/19 18:33:37

<태국경제 단신> -태국 바트화 대 달러 환율(방콕은행 전신환매도율 기준)은 지난 4일 수요일 32.85에서 10일 화요일 32.81로 한 주간 0.04밧 0.12% 하락했습니다. -태국 증권 시장은 지난 4일 수요일 1,132.02에 마감한 후 10일 화요일 1,139.16로 한 주간 7.14포인트 0.63% 상승했습니다. 하루 거래 금액은 241억~496억 밧이었습니다. -Pinsai 국세청 청장은 기존 투자와의 공정한 경쟁을 목표로 이자 소득에 대한 관세와 유사한 G-tokens에 대한 세금 프레임워크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G-tokens의 경우 보유자가 얻는 소득은 이자 소득으로 간주되어 국세청에서 15%의 원천징수세 를 부과합니다. 납세자는 최종 세금으로 처리하거나 연간 개인 소득세 신고에 포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상무부 무역정책전략국(TPSO)은 6월 물가상승률이 긍정적으로 예상되지만 0.2-0.4%로 전망된 수치는 중앙은행 목표치보다 낮다고 밝혔습니다. 5월 Core CPI는 yoy 1.09% 상승하여 예상치인 0.94%보다 높았습니다. TPSO 국장은 올해 첫 5개월 동안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평균 0.48%, Core CPI는 0.95였다고 말했습니다. -정부 대변인에 따르면 2025년 첫 4개월 동안 동부경제회랑(EEC)에 투자하는 외국인 수는 yoy 40% 증가하여 108개에 달했습니다. 전체 중 32개는 일본(약 100억 바트), 25개는 중국 (약 38억 6,000만 바트), 10개는 싱가포르(약 59억 3,000만 바트), 나머지 41개는 기타 국가에서 총 115억 바트를 투자했습니다.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는 중소기업의 폐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과 최근 졸업생들이 일자리를 구하는 데 점점 더 어려워지는 상황에 대해 상당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월요일에 발표한 최신 2025년 1분기 사회 전망 보고서에서 실업률이 yoy 1.01%에서 0.88%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무역 및 서비스 부문에서 개인의 근무 시간이 단축되거나 자신의 기술 수준보다 낮은 직종에서 일하는 ‘불완전 고용’이 증가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주로 경기 침체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태국산업연맹(FTI)은 신차 구매를 희망하는 잠재 고객을 대상으로 한 할인 행사 덕분에 4월 국내 오토바이 판매량이 소폭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4월 오토바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131,950대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태국 사업개발부(DBD)에 따르면 2025년 1월~4월 태국 내 총 3,921개 기업이 운영을 중단했고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했습니다. 폐업률이 가장 높은 상위 3개 업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반 건설 - 폐업 372건, 등록 자본금 6억 5,200만 바트, 2. 부동산 - 폐업 184건, 등록 자본금 9억 1,200만 바트, 3. 레스토랑, 식당 - 폐업 159건, 등록 자본금 3억 9,100만 바트입니다. -상무부 무역정책전략국(TPSO)에 따르면 태국 가정은 5월에 평균 21,037바트를 지출했으며 임대료, 전기세, 조리용 가스비 등 주거 관련 비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통비, 연료비, 전화 요금이 22.16%(4,661바트)를 차지했고 의료비 6.36%(1,335바트), 교육비 4.04%(849바트), 의류 2.09%(440바트), 담배와 주류 1.24%(216바트)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통합 물류 플랫폼 서비스인 ShipHub에 따르면 태국의 택배 배송 시장은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확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시장 규모가 17~18% 증가하여 일일 평균 택배 물량이 700만~800만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태국에서는 Thailand Post가 여전히 시장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Flash Express, J&T Express, Kerry Express(KEX)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국제 신용평가사 S&P “태국의 신용 등급 BBB+…안정적인 전망” S&P 글로벌 신용평가사는 태국의 강력한 경제 기반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반영하여 안정적인 전망으로 태국의 신용등급을 BBB+로 재확인했습니다. S&P는 태국 경제가 2025년에 2.3%, 2026년에 2.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태국은 특히 미국의 보복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외부 위험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 2028년까지 태국의 평균 실질 GDP 성장률은 약 2.8%이며, 2025년 1인당 소득은 태국 바트화 강세에 힘입어 7,500달러에서 8,100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P는 태국 정부가 동부경제회랑(EEC) 내 투자와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전략적 초점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태국은 높은 수준의 외환보유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전히 강력한 대외 금융 입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관광업은 여전히 태국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입니다. 2024년 외국인 관광객 수는 3,550만 명으로 2023년보다 26%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급증은 강력한 회복세를 의미합니다. 2025년 1분기에는 yoy 1.9% 성장이 둔화되었지만 S&P는 하반기에 다시 전망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변국가 소식> -중국, 무비자 입국 적용 국가 범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 중국은 6월 1일부터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우루과이 등 5개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일반 여권 소지자에 대한 비자 면제 정책을 시범적으로 시행했습니다. 지난 5월 외교부는 걸프협력회의(GCC) 국가들에 대한 무비자 입국을 전면 적용하여 대외 개방 의지를 보인 바 있습니다. 또한, 중국 외교부는 작년부터 대한민국을 포함한 43개국에 대해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현재까지 유효합니다. 올해 1분기 동안 900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중국에 입국했으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40%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1~4월 중국 내 외국인 투자 기업은 18,000여 개로, 전년 대비 12.1% 증가했습니다. -말레이시아, 7월 1일부터 외국 차량 VEP 단속 예고…싱가포르·조호르바루 신청센터에 긴 줄 말레이시아 교통부가 2024년 7월 1일부터 외국 차량에 대한 차량 입국허가(VEP, Vehicle Entry Permit) 단속을 시행한다고 발표했으며 6월 5일 싱가포르 우드랜즈와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당가베이(Danga Bay) 소재의 VEP 신청센터에는 수많은 운전자들이 몰렸습니다. 말레이시아 교통부 장관은 6월 4일, VEP가 없는 외국 차량은 RM300의 벌금을 부과 받고, 출국 전에 VEP 등록을 마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6월 5일, 온라인 포털 가입이나 RFID(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활성화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운전자들이 VEP 지원센터에 몰리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VEP에 등록된 차량은 말레이시아 고속도로 통행료와 육로 진입 시 부과되는 요금을 납부하기 위해 RFID 태그 부착 및 활성화가 필수입니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1위 도요타, 인니‘중고차 시장’진출 본격화 2024년 인도네시아 신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4% 감소한 865,723대, 2025년 1분기 신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한 215,250대를 기록했습니다. 중고차 시장의 성장세는 신차 대비 낮은 가격과 세금 부담으로 인한 중고차 수요 증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거래 편의성 증가에서 기인합니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도요타는 동남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자동차 제조와 판매를 하는 인니 대기업 ASTRA INTERNATIONAL의 자회사 PT Astra Digital Mobil(ADMO)의 주식 40%를 인수하여 중고차 플랫폼 OLXmobbi를 통해 중고차 사업 진출을 본격화합니다. OLXmobbi는 인도네시아 주요 10개 도시에 30개 이상의 매장과 차량 검사 센터를 운영하며 O2O(Online to Offline) 판매 모델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타 소식> -중국은 아세안 비자를 공식 출시했습니다. 이 비자에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동티모르까지 포함됩니다. 아세안 비자는 기업인에게 5년 동안 중국에 여러 번 입국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합니다. 체류 기간은 최대 180일까지이며 배우자와 자녀도 포함됩니다. 올해 1분기에 중국의 국제 입국자 수는 900만 명이 넘었는데 yoy 40% 이상 증가했습니다. -프리미엄 솥밥 전문 브랜드 '솔솥'이 5월 30일, 태국 방콕 센트럴월드에 마스터 프랜차이즈 매장을 오픈했습니다. 주식회사 솔솥은 지난 2월 13일, 태국 방콕에서 Meation Group과 솔솥의 태국 진출을 위한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Meation Group은 현재 태국 내에서 더본코리아의 '새마을식당'과 BHC 브랜드 등 30여 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외식 전문 기업입니다. 솔솥은 2025년 내 태국에 총 3개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며, 이를 기점으로 동남아시아 시장 전역으로의 확장을 본격 추진할 예정입니다. -한문화진흥협회는 지난 6월 8일 방콕 Amari 호텔에서 ‘제4회 태국 한복모델 선발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하고 한국과 태국 간 문화외교의 새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주태국 대한민국 대사를 비롯해 대한민국 한복모델 선발대회 대회장, 태국 조직위원장, 한문화진흥협회 상임고문, 태국 문화부 국장, 주태국 한국문화원장, 한태교류센터 대표 등 양국을 대표하는 내빈들이 참석하여 개최를 축하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한복이 어울리는 세계인을 발굴해 대한민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문화 다양성과 상호 존중의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외교적 취지 아래 기획된 행사이며 올해는 207명의 현지 참가자 중 40명의 본선 진출자가 대한민국 전통복식 한복의 멋을 겨루었습니다. -Thai Airways(THAI)는 2025년 6월 16일에 중앙파산법원의 결정이 내려지면 기업 회생 프로그램 에서 제외될 예정입니다. 법원이 파산취소 청원을 승인하면 국영 항공사의 주식은 올해 7월 초 태국 증권거래소(SET)에서 거래가 재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증가하는 수요로 태국 국제학교 성장 촉진 태국의 국제학교 사업은 자녀에게 고품질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부모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사업개발부(DBD)에 따르면 4월 30일 기준 교육 부문에서 운영되는 등록된 법인은 7,511개이며, 총 등록 자본금은 506억 3천만 바트입니다.이 중 6,717개 법인 (89.43%)이 유한회사(Limited Company)로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자본금은 481억 7천만 바트 입니다. 790개 법인(10.52%)이 합자회사(Limited Partnerships) 또는 합명회사(Ordinary Partner ships)로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자본금은 11억 1천만 바트입니다. 그리고 주식회사(Public Limited Company)로 등록된 법인은 4개(0.05%)에 불과하며 등록자본금은 13억 4천만 바트입니다.

한태상공회의소에서 전하는 태국 및 주변국가 경제 NEWS - 709호

2025/06/05 19:23:45

<태국경제 단신> -태국 바트화 대 달러 환율(방콕은행 전신환매도율 기준)은 지난 20일 화요일 33.24에서 27일 화요일 32.84로 한 주간 0.4밧 1.20% 하락했습니다. -태국 증권 시장은 지난 20일 화요일 1,189.14에 마감한 후 27일 화요일 1,163.42로 한 주간 25.72포인트 2.16% 하락했습니다. 하루 거래 금액은 277억~469억 밧이었습니다. -중앙은행은 태국 은행들의 부실채권이 12월 말 2.78%에서 3월 말 2.9%로 증가했으며 2025년 1분기 은행 대출은 yoy 1.3% 감소다고 발표했습니다. 수출 부문이 미국 관세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2분기에도 대출은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6 회계연도 예산은 중앙긴급기금 및 재무부에 가장 많은 예산을 배정했으며 총 정부 지출은 3조 7,800억 바트입니다. 이는 2025 회계연도 예산보다 279억 바트가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6 회계연도 예산은 적자 예산이 될 것이고 적자는 예상 수입의 약 22.7%인 8,600억 바트의 대출로 충당될 것입니다. -태국 화주협의회(TNSC) 회장인 Dhanakorn은 상무부에 수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장기 전략 계획이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민간 부문과 상무부가 수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주요 제품을 포함한 제품군을 파악하기 위해 협력할 것입니다. 상위 10개 수출 제품은 그룹 A로 분류될 수 있으며 다음 20개 제품은 그룹 B와 C로 분류될 예정이고 우선순위에 따라 전략적으로 관리할 것입니다. -전자상거래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국내 중소기업(SME)들이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전국적인 전자상거래 플랫폼(e-marketplace)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수수료를 계속 인상하고 전자상거래 시장을 독점하는 대형 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만이 성공적인 국내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태국의 주요 시중은행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출자들을 지원하고 취약한 경제를 부양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노력에 따라 금리를 인하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2025년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시중은행 대출이 3분기 연속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실채권, 특히 중소기업과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태국산업연맹(FTI)은 지난 4월 국내 자동차 판매가 작년 대비 23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했다고 밝혔지만 생산과 수출은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3월에 0.54% 감소 이후 4월 국내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했습니다. -부동산 컨설팅 회사 CBRE Thailand에 따르면 태국의 럭셔리 소매 시장은 44억 달러 규모이며 2028년까지 연평균 약 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태국은 동남아시아 럭셔리 소매 시장 1위이자 아시아 태평양 지역 7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역정책전략국(TPSO)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태국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서비스 산업의 가치는 2023년 567,057백만 바트에 달해 2022년 대비 9.79% 성장했습니다. TPSO는 지속적인 성장과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는 세 가지 핵심 분야를 선정했으며 1.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부문 2. 디지털 서비스 3. 디지털 콘텐츠입니다. -Mitsubishi Electric 그룹은 캄보디아에 새로운 사무소를 개설하며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지역 판매 법인이자 지역 본사 역할을 하는 Mitsubishi Electric Asia Pte Ltd는 캄보디아 프놈펜에 현지 사무소를 개설했으며 Mitsubishi Elevator (Thailand) Co Ltd는 캄보디아 프놈펜에 현지 지사를 오픈했습니다. 캄보디아 사무소의 주요 목표는 에어컨이며,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신뢰를 구축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MRT 핑크 노선의 Si Rat - Muang Thong 구간 2개의 확장 역인 Impact Muang Thong Thani 역 - Lake Muang Thong Thani 역은 올해 5월 20일부터 2025년 6월 16일까지 시범운영이 진행되고 탑승 요금은 무료입니다. -관광청은 국제 영화 제작에 대해 최대 30%의 현금 리베이트 인센티브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고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이 이니셔티브는 올해 프랑스에서 열리는 제78회 칸 영화제에 참석하는 제작사를 대상으로 하며 태국에 글로벌 영화와 시리즈 촬영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정부는 주요 정책 중 하나인 디지털 월렛 프로그램을 통해 10,000바트를 배포하려던 계획을 폐기하고 대신 1,500억 바트 이상의 새로운 경기 부양책으로 대체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계획은 미국 관세 인상의 영향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고 영향을 받을 기업들을 위한 생산 구조조정과 유동성 지원을 우선시할 것입니다. -태국 상업대학교(UTCC) 발표에 따르면 미국 관세, 농산물 가격 하락, 정치적 불확실성 등에 대한 우려로 4월 소비자확신지수(CCI)는 3월 55.4에서 56.7포인트로 감소했으며 3개월 연속 하락했습니다.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1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총 관광 수입은 1조 바트 이상에 달했으며 이 중 6,210억 바트가 외국인 관광객으로부터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태국은 이 기간 동안 1,312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맞이했고 국내 여행이 4,130억 바트 이상을 돌파했습니다. 장거리 여행객은 17% 증가한 502만 명으로 yoy 20% 증가한 3,190억 바트를 기록했습니다. <주변국가 소식> -태국, 라오스·베트남과 태국산 육류 수입 금지 조치 해제 협의 예정 라오스와 베트남은 태국 내 탄저병(Anthrax) 발병 이후 태국산 육류 수입을 금지한 바 있으며, 태국은 동 조치를 해제하기 위한 협의에 나설 방침입니다. 라오스와 베트남이 태국산 육류 수입을 금지하면서 태국 경제 전반에 심각한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나콘파놈 주의 월간 수출액은 3억~5억 바트로 감소했습니다. 태국 정부는 이번 협의에서 질병 통제 및 퇴치를 위한 규제 시행 방안을 공유할 방침입니다. -중국 국가 인터넷신분증 제도 7월 15일 시행 신화통신은 공안부 등 6개 부처가 공동으로 5월 23일 ‘국가 인터넷 신분인증 공공복무 관리방법(관리방법)’을 발표했으며 오는 7월 15일부터 시행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총 16개 조항으로 이뤄진 관리 방법에 따르면 문자와 숫자로 조합한 인터넷 주민번호격인 ‘인터넷 번호’와 ‘인터넷 신분 인증’ 제도가 실시됩니다. 인터넷 업체들이 하는 이용자 신분인증을 국가가 직접 한다는 것입니다. 당국의 전용 앱을 이용해 신분을 인증하고 인터넷 번호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번호는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며 국가 앱에 한 번 신분 인증을 해 두면 다른 인터넷 기업이 운영하는 플랫폼을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D 가격 34% 인하, 중국 전기차 주가 일제 급락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중국 비야디(BYD)가 가격을 최대 34% 인하하자 BYD는 물론, 중국 전기차 업체의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습니다. 홍콩증시에서 BYD는 8.60%, 지리자동차는 7.29%, 리오토는 4.93%, 샤오펑은 4.19% 각각 급락했습니다. 일단 BYD는 8.60% 급락한 425.20홍콩달러를 기록했다. BYD는 지난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었습니다. 이는 차량 가격을 크게 인하했기 때문이며 BYD는 전일 공식 웨이보를 통해 “6월 말까지 22종의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 가격을 인하한다”라고 발표했습니다. -인도네시아, 2031년 아시안컵 개최국 신청 현지 주요 매체 Goodstats.id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아시아축구연맹(AFC)에 2031년 아시안컵 개최를 위한 공식 제안서를 제출하며, 개최권을 두고 경쟁하는 9개 후보국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번 제안은 인도네시아 축구협회(PSSI)가 주도했으며, 단독 개최국 자격으로 진행됐습니다. 인도네시아는 2023년 국제축구연맹(FIFA) U-17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과, 다양한 국제 및 지역 대회 개최 실적을 강점으로 내세웠습니다. -일본 폭염 예고에…도쿄 "수도 기본요금 무료화" 검토 마이니치·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도쿄도는 일반 가정 약 772만 가구를 대상으로 수도 기본요금 무상화를 검토하고 있으며 적용 기간은 무더위가 집중되는 4개월 가량입니다. 일본의 수도 기본요금은 860엔에서 1460엔 정도입니다. 개별 가정에서 사용한 만큼 부과되는 수도 요금은 기존처럼 청구됩니다. 도쿄도는 추경 예산안에 관련 경비 400억 엔을 반영해 다음 달 도의회에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타 소식> -제21대 대통령선거 재외투표가 지난 5월 20일~25일 실시된 가운데, 태국 내 재외선거 투표율은 78.46%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주태국한인회에 따르면, 주태국 대한민국대사관 강당에 설치된 재외투표소에서는 태국 내 재외선거 명부 등록자 3,566명 중 2,798명이 투표에 참여했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태국에서 실시된 재외선거 역사상 가장 높은 수치로, 역대 최대의 선거인 등록 수, 최대 투표자 수, 그리고 최고 투표율을 동시에 경신했습니다. -태국은 비자 오용을 억제하고 투명성을 보장하며 전국적인 교육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단기 과정에 대한 규정을 강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고등교육과학연구혁신부 (MHESI)는 2025년 5월 14일부터 시행된 “2025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비학위 단기 과정 기준 및 운영 지침”이라는 새로운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교육기관은 강좌 제목, 담당 부서 및 강사, 교육 목표, 구조 및 내용, 교수법 등 세부 강좌 정보를 제출해야 합니다. 교육과정은 현장 수업이 60% 이상이어야 하며 온라인 학습은 40%로 제한됩니다. 각 강좌는 총 180일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일일 및 주간 시간표, 학생 출석 기록, 참가 자격, 등록 기간, 총 유학생 수, 교육 언어, 교육 장소, 평가 방법도 공개해야 합니다. -Central Group은 Huamark Center를 차세대 라이프스타일 쇼핑몰로 개선하기 위해 3억 바트 이상을 투자했습니다. 새롭게 단장한 Huamark Center 쇼핑몰에는 250개 이상의 국내외 유명 브랜드가 입점하여 패션, 뷰티, 식품, 기술, 라이프스타일 등의 제품이 있습니다. 이는 하루 평균 2만 명에서 3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경영 컨설팅 회사인 LWS Wisdom and Solutions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Z세대와 Y세대의 66% 이상이 주거용 부동산 구매 대신 임대를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태국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LWS는 임대 투자가 연간 4-9%의 수익률을 달성하는 등 ‘buy-to-let’ 모델이 점점 더 매력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100만-200만 바트 가격대의 콘도는 월 5,000-10,000바트의 임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한패스는 태국을 대표하는 은행인 카시콘 은행(Kasikorn Bank)과 결제 네트워크 연결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베트남에 이어 결제 파트너 확장을 통해 태국 시장 공략에 나섭니다. 카시콘과의 신규 파트너십 계약을 통해 한패스는 태국에서의 서비스 인지도와 신뢰를 강화하고 현지 수취인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됐습니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패스는 송금·이체 서비스 고도화와 함께 ▲모바일 월렛 ▲모바일 결제솔루션 등의 추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한국에 거주하는 20만여명의 태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더욱 쉽고, 빠르고, 편리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Somsak Thepsutin 보건부의 장관은 방콕 주민의 56% 이상이 복부비만을 앓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방콕에서 열린 NCD 행사 출범식에서 이 수치를 공개하며 방콕 주민들이 다른 지역 주민에 비해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 발병률이 높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방콕 주민의 56.1%가 복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국 평균 39.4%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방콕 주민의 약 12.5%가 당뇨병 진단을 받은 반면, 전국 평균 당뇨병 환자는 9.5%에 불과합니다.

12345